북한의 대남 대미 협상행태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13:14
본문
Download : 북한의 대남 대미 협상행태 분석_131880.hwp
그러면서도 북측의 강성산 총리는 동 접촉이 무산된 결과에 대하여 ꡒ남조…(투비컨티뉴드 )
북한의 대남 대미 협상행태 analysis
설명
역제의한국은 1993년 5월 20일 북한의 NPT 탈퇴시점(6월 25일)이 임박한 상황에서 북 핵문제에 대한 독자적 해결의지를 가지고 북한에 ... , 북한의 대남 대미 협상행태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역제의한국은 1993년 5월 20일 북한의 NPT 탈퇴시점(6월 25일)이 임박한 상황에서 북 핵문제에 대한 독자적 해결의지를 가지고 북한에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북한의 대남 대미 협상행태 분석_131880.hwp( 76 )
다. 여기에서 한국측은 핵문제를 우선 협의, 해결하자는 입장을 보인 반면, 북한측은 특사교환에서 핵문제보다는 자신들이 주장하는 4개 요구사항―즉, 남조선의 외세의존정책 포기, 핵우산 포기, 주한미군 철수, 핵전쟁연습 중지―들을 먼전 포괄적으로 협의·해결하자는 입장을 고수하여 양측은 타결점을 찾지 못하였다. 남한측은 이를 전향적으로 수용, 1993년 6월 26일까지 몇 order (차례) 에 걸친 남북특사교환을 위한 임무와 절차에 대한 상호 실무접촉을 통한 opinion(의견)교환이 있었으나 실질적인 성과는 없었다.
협상reality(실태) 에 대하여 상대방 비난―북한은 `93년 6월 2일 미국과의 고위급회담이 성사되자 남북 특사교환에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다가 한국의 「’93 을지훈련」을 구실로 특사교환 접촉을 자진 철회하였다.,인문사회,레포트






역제의한국은 1993년 5월 20일 북한의 NPT 탈퇴시점(6월 25일)이 임박한 상황에서 북 핵문제에 대한 독자적 해결의지를 가지고 북한에 ‘남북한 고위당국자 회담’을 제의하였으나, 북한은 역으로 남북간에 통일문제를 전담하는 부총리급「특사교환」을 제의(5월 25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