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민요의 요사적(謠詞的) 特性(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22:47
본문
Download : 경남 민요의 요사적(謠詞的) 특성.hwp
그러므로 그것은 가창의 형식이나 음악적 가락에서 찾을 수도 있고, 일·제의·놀이·춤 등과의 관련성에서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당위성은 민요를 부르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의식(意識)의 외현이고, 그 의식이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이 요사라고 한다면, 우리는 민요의 요사를 통해 가창자의 의식, 나아가 민요의 실상에도 접근해 갈 수 있으리라 본다....
『한국민요대전 경상남도 민요해설집, 1994.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류종목 교수님의 글입니다. ...민요를 가창하는 당위성, 그것은 그것을 즐기고 노래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자연 환경, 의·식·주, 생산 활동, 기타 삶의 여러 가지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표현된다. 일노래로서는 모심기소리, 보리타작소리 등 농사일노래가 많고, 목도소리, 망깨소리 등도 발달하였다. 물론 개골타령, 수박타령, 동풍가 등 일부 노래는 남성 창자가 부른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비기능요는 여성 창자의 몫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가창의 형식이나 음악적 가락에서 찾을 수도 있고, 일·제의·놀이·춤 등과의 관련성에서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당위성은 민요를 부르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의식(意識)의 외현이고, 그 의식이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이 요사라고 한다면, 우리는 민요의 요사를 통해 가창자의 의식, 나아가 민요의 실상에도 접근해 갈 수 있으리라 본다.
,인문사회,레포트
경남 민요의 요사적(謠詞的) 特性(특성)
Download : 경남 민요의 요사적(謠詞的) 특성.hwp( 58 )
시집살이노래와 달거리노래는 모두 여성들의 것으로 그들의 삶 속에 배어 있는 질곡과 애환이 가장 진지한 문학적 표현법을 통해 묘사된 자위적 요사가 중심이 되어 있다 이러한 사정은 사친가, 국문뒤풀이, 늑도자탄가, 댕기노래, 줌치노래, 쌍금쌍금쌍가락지 등 여러 창자들에 의해 가창되는 대부분의 노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노래들 가운데 남녀 창자들에 의해 가창되는 모심기소리 이외의 것들은 모두 남성 창자들이…(생략(省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민요대전 경상남도 민요해설집, 1994.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류종목 교수님의 글입니다.
순서
...민요를 가창하는 당위성, 그것은 그것을 즐기고 노래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자연 環境, 의·식·주, 생산 활동, 기타 삶의 여러 가지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식과 내용으로 표현된다된다.... , 경남 민요의 요사적(謠詞的) 특성인문사회레포트 ,
%20%ED%8A%B9%EC%84%B1_hwp_01.gif)
%20%ED%8A%B9%EC%84%B1_hwp_02.gif)
%20%ED%8A%B9%EC%84%B1_hwp_03.gif)
%20%ED%8A%B9%EC%84%B1_hwp_04.gif)
%20%ED%8A%B9%EC%84%B1_hwp_05.gif)
다. 그리고 이러한 노래는 문학적 수식에 보다 큰 관심을 보이는 게 하나의 특징이다.
3. 맺음말
한 지방의 민요는 그 지방 사람들의 삶과 의식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삶의 모습은 노래의 요사에 가장 적절하게 드러나 있다 민요의 요사는 삶의 전면을 두루 표현하고 있으나 대체로 지시적인 것, 자위적인 것, 주사적인 것, 주지적인 것 등올 되어 있다
경남 지방은 삶의 방식이 다양한 만큼 거기서 부르는 민요도 여러 가지로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