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 대한 철학적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3:16
본문
Download : 정치철학.hwp
위의 책, p.81-88.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국가에대한철학적이해 담론 국가관 / ()
4. 민주주의와 국가
다. 풀란차스는 푸코를 비판하면서도 국가의 제도적 물질성을 설명(explanation)하는 부분에서는 적극적으로 그를 인용하고 있다 국가가 사회적 분업의 구성에 개입하면서 ‘사회적-경제적 개체’를 ‘법적-정치적 개인-인격-주체’로 구성하는 개체화를 확립한다. 부르주아
Ⅰ. 머리말
Ⅱ. 본론 : 루소와 풀란차스
국가에 대한 철학적 이해
5. 국가의 현존: 시민사회의 순수성에 대한 efficacy
3. 공동체의 난점과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국가에대한철학적이해 담론 국가관
2. 일반의지 혹은 총화된 힘으로서의 국가
설명
위에서 잠시 언급했던 ‘정상화’는 풀란차스가 푸코를 나름대로 수용하며 쓴 정의 이다.순서





4. 민주주의와 국가
Download : 정치철학.hwp( 31 )
국가에대한철학적이해 담론 국가관 / ()
1. 사회계약 담론 분석
Ⅲ. 결론
풀란차스는 푸코가 이러한 설명(explanation)과정에서 이데올로기를 제외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정상화/개체화를 ‘지배적 이데올로기의 기본적 형태가 개입하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위의 책, p.85 : 푸코의 권력, 신체, 정상화에 대한 간략한 요약은 미셀 푸코,『감시와 처벌』, 오생근, 나남, 1994. p.54-61.
개개인이 다양한 심급의 주체로 형성되고 있다는 (다소 기능주주의적으로 보이는) 푸코나 풀란차스의 理論은 권력과 제도에 대한 논의가 자율적 개인-주체의 명석성과 정합성과 같은 기존 관념을 efficacy적으로 파열시키고 있는 주요한 예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