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o.kr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 > jtb1 | jtb.co.kr report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 > jtb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tb1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0:57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hwp




고려 중기인 995년(성종 14) 어사대는 대부(大夫)·중승(中丞)·시어사(侍御史)·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감찰어사(監察御史) 등의 관직이 있었고, 1308년(충렬왕 34)에는 대사헌·집의(執義)·장령(掌令)·지평(持平)·규정(糾正) 등이 있었다.
순서


Ⅲ. 사헌부의 직제
고려시대 사헌부의 직제는 관부명이 변경될 때마다 변동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개국 이후 여러 번 변경되었다.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에 대한 글입니다.
세종 때에 이르러 고정화되어 《경국대전》에 대사헌(大司憲:종2품) 1명, 집의(執義:종3품) 1명, 장령(掌令:정4품) 2명, 지평(持平:정5품) 2명, 감찰(監察:정6품) 13명으로 규정하고 서리(書吏) 39명을 두도록 하였다.행정사레포트 ,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Download :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hwp( 95 )




다. 연산군 때는 지평을 없애고 장령 2명을 증원하였으나 중종이 즉…(skip)
행정사보고서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

조선시대의%20감사행정과%20사헌부_hwp_01.gif 조선시대의%20감사행정과%20사헌부_hwp_02.gif 조선시대의%20감사행정과%20사헌부_hwp_03.gif 조선시대의%20감사행정과%20사헌부_hwp_04.gif 조선시대의%20감사행정과%20사헌부_hwp_05.gif 조선시대의%20감사행정과%20사헌부_hwp_06.gif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조선시대의 감사행정과 사헌부에 대한 글입니다. 1392년(태조 1)의 직제가 1401년(태종 1)에 변경되었고, 문종 때의 관원을 보면 판사(判事:정3품)·대부(大夫:정3품)·지사(知事:종4품)·중승(中丞:종4품)·잡단(雜端:종5품)·시어사(侍御史:종5품) 각 1명,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정6품) 2명, 감찰어사(監察御史:종6품) 10명, 그 밖에 문리(文吏) 5명, 녹사 3명, 영사(令史) 41명, 서령사(書令史) 6명, 계사(計史) 1명, 지반(知班) 2명, 기관(記官) 6명, 산사(算士) 1명, 기사(記事) 10명, 소유(所由) 50명을 두었다.
전체 7,66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tb.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