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4:41
본문
Download : 세종대왕_2019105.hwp
나무로 만들었는데, 자동 시보 장치는 지렛대의 원리와 경사면을 굴러 떨어지는 공의 운동을 연결한 것으로 2년이나 걸려 완성하였다.1437년(세종 19년) 오늘날의 천문관측기기와 같은 원리로 개량된 천문기기인데, 행성과 별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따대간의는 간의대에 설치했고, 소간의는 대간의를 작게 하여 갖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세종대왕 , 세종대왕기타레포트 ,
세종대왕
Download : 세종대왕_2019105.hwp( 45 )
,기타,레포트



세종대왕
세종대왕에 대한 글입니다.
3) 간의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천체 관측 기구이다. 1276년 중국(China) 원나라때 처음 만들어졌으며, 세종 때 원나라의 제도를 본떠 이천, 장영실 등이 대·소간의를 만들었다.
4) 자격루
자격루는 세종 16년(1434년)에 장영실 등이 세종의 명을 받들어 만든 일종의 자동 물시계이다. 임진, 정유왜란으로 유실된 후 최초로 복원되었다. 오늘날 각도기와 비슷하며, 혼천의를 간소화한 것이다.
레포트/기타
순서
설명
2) 규표
규표는 일 년의 길이가 정확히 몇 날인가와 24절기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던 도구이다. 수직으로 세운 막대표의 그림자 길이를 기준으로 동지, 하지, 춘분, 추분 이라하고 나머지 20개 절기를 그 사이에 약 15일 간격으로 배열한 것이다. 이 자격루는 경복궁 남쪽의 보루각에 설치되어 조…(skip)
세종대왕에 대한 글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