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16:19
본문
Download : 북한문법론.hwp
④상황어(꾸밈말):술어에 관련된 양상이나 環境,즉 행동방식,상태모습,정도 등을 나타내는 constituent 으로 `운동장에서,더욱 높이,성실하게`처럼 주로 그들의 위격(에서)표현어,부사 표현어들인데 역시 우리의 부사어에 해당된다
⑤규정어(얹음말):규정토와 속격토로 된 constituent 으로 우리의 관형…(drop)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순서
Download : 북한문법론.hwp( 24 )
성분 용어에서는 종전에 세움말,풀이말…처럼 고유어인던 것이 주어,술어…처럼 한자어로 바뀐 것이 특이하다.참고로 여기서는 ( )에 종전 고유어 ... , 북한문법론기타레포트 ,
성분(成分) 용어에서는 종전에 세움말,풀이말…처럼 고유어인던 것이 주어,술어…처럼 한자어로 바뀐 것이 특이하다.`되다`앞의 constituent 은 우리의 부사어에 해당하는 간접보어로 보고 `아니다`앞의 constituent 은 주어로 본다.따라서 그들의 보어는 남한 학교문법의 보어 concept(개념)과 전혀 다르다.






설명
constituent 용어에서는 종전에 세움말,풀이말…처럼 고유어인던 것이 주어,술어…처럼 한자어로 바뀐 것이 특이하다.
③보어(보탬말):술어의 의미가 미치는 대상을 나타내는 constituent 으로 직접보어와 간접보어가 있따직접보어는 대격토(을)로 실현되는 목적어를 말한다.
(1)맞물린 constituent
①주어(세움말):술어에 대해 임자로 되는 constituent 으로 대개 주격토로 실현된다 중주어문은 대주어-소주어 또는 총주어-각주어의 구조로 본다.
②술어(풀이말):진술성을 보이는 constituent 으로 맺음토로 된 술어는 종결술어,이음토로 된 술어는 접속술어라 한다.간접보어는 직접보어를 제외한 모든 보충적인 대상 constituent 인데 주로 그들의 여격(에,에게),조격(으로),구격(와)이 붙은 constituent 으로 우리의 부사어 일부에 해당한다.참고로 여기서는 ( )에 종전 고유어 ...
북한문법론
다.참고로 여기서는 ( )에 종전 고유어 용어도 병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