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 탄소계의 평형상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03:20
본문
Download : 철 탄소계의 평형상태도.hwp
C(액체) E( ν 고용체)+F(Fe3 C) (F점은 C6.67%)ES : ν 고용체에서 Fe3 C를 석출하기 스타트하는 온도, ν 고용체에 대한 Fe3 C의 용해도 곡선, 이 곡선을 A㎝선이라 한다. 상태도는 각점과 선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1145℃, C4.3%) E : ν 고용체에 대한 C가 최대로 용해하는 점(C 1.7%)ECF : 공정선 이 온도에서 다음과 같은 공정 reaction(반응)을 한다.
탄소강중의 탄소는 전부가 철과 탄소의 금속간 화합물 Fe3 C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탄소가 흑연과 함유하면 주철의 조직으로 나타난다. Fe-C(점선)계와 Fe3 C(실선)계의 2중 평형도로 나타낸다.BC : ν 고용체(ν 철이 C를 고용한 고용체)에 대한 액상선JE : ν 고용체에 대한 고상선CD : Fe3 C(시멘타이트)에 대한 액상선(Fe3 C가 정출하기 스타트하는 온도)C : 공정점(E의 ν 고용체와 F점의 Fe3 C가 액체에서 동시에 정출하는 점, 이 조성을 가진 합금은 공정 조직이 된다된다.G : 순철의 A3 변태점< ν철 α철(910℃)>GOS : ν 고용체에서 α고용체(α철에 C가 고용한 고용체)를 석출하기 스타트하는 온도(강의 A3변태가 일어나기 스타트하는 온도다. 이와 같이 두종류의 평형관계를 동시에 표시한 것을 보평형 상태도라고 한다. 평형상태도는 강과 주철의 현미경 조직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그림이다.철 탄소계의 평형상태도
레포트/기타
설명


철-탄소계의 평형 상태도이다.
A : 순철의 융점(1539℃)N : 순철의 A4 변태점(δ철ν철 1400℃) AB : δ 고용체(δ철이 C를 고용한 고용체)에 대한 액상선AH : δ 고용체에 대한 고상선(H점의 C량은 0.07%)HN : δ 고용체가 ν 고용체로 변하기 스타트하는 온도(A4 변태가 스타트하는 온도)JN : δ 고용체가 ν 고용체로 변하는 변화가 끝나는 온도(A4 변태가 끝나는 온도)HJB : 포정선 (1486℃ : J점은 C 0.18%, B점은 C 0.36%) H(δ고용체)+B(액체)J(ν고용체)되는 포정 reaction(반응)을 일으킨다.)S : 공석점(C…(省略)
철 탄소계의 평형상태도에 대한글 [금속재료]철-탄소계의평형상태도02 , 철 탄소계의 평형상태도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금속재료]철-탄소계의평형상태도02
순서
철 탄소계의 평형상태도에 대한글
Download : 철 탄소계의 평형상태도.hwp( 68 )
다.